속속 등장하는 새 풍속
계속 전승해 세계적 축제로
진화시키는 작업 필요

우리의 세시풍속 일부는 전승되고 있으나 농촌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세시풍속의 의미가 퇴색되고, 내용도 축소·약화되고 있다. 즉 논농사 중심의 자급농업, 소농의 가족경제, 마을을 기반으로 한 공동체사회가 와해되면서 전승이 단절되거나, 약화되고 있는 것이다.
사라지기 시작한 대표적인 세시풍속은 머슴을 위한 날이면서 바람신인 영등할머니를 모시는 ‘2월 초하루’, 그리고 강남 갔던 제비가 돌아오는 날이라 하며, 화전놀이를 하는 날인 ‘3월 삼짇날’ 등은 요즘 좀처럼 볼 수 없게 됐다.
또 창포에 머리를 감으며 쑥떡, 밀전병 등과 같은 음식을 마련해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던 ‘단오’ 명절 등도 사라지고 있다. 단오날에는 설날과 마찬가지로 단오빔으로 단장하고 쑥떡과 수리취떡, 앵두화채와 창포주 등을 즐겼다. 이러한 단오절 행사가 이제는 점차 자취를 감추고 있다.
찜통더위가 절정에 이르는 음력 6월15일 삼복에 몸을 씻어 상서롭지 못한 기운과 더위를 쫓았던 ‘유두’도 사라지고 있다.
‘백중’은 불가에서 유래된 명절로, 우리나라에서는 농민의 축제성격이 융합된 세시풍속으로 노동절의 의미가 담긴 날이다. 백중날은 농사일 중 가장 힘든 김매기가 끝난 시기로, 마을잔치를 벌이고, 조상차례를 지내며, 백중장이 크게 서고 씨름판도 벌어졌다.
그러나 요즘은 백중놀이를 좀처럼 볼 수 없고, 불가에서 영혼을 달래는 영산제로 전승되고 있는 상황이다.
농경문화의 쇠퇴에 이은 현대 산업사회로의 진입으로 이 같은 세시풍속이 약화되고 새로운 세시풍속이 등장하고 있다.
그러나 농산물 판매 촉진을 위해 정부나 단체가 실시하고 있는 ‘삼겹살데이’(3월3일), ‘가래떡데이’(11월11일), 그리고 기업의 상품 판촉 일환으로 행해지는 ‘밸런타인데이’, ‘빼빼로데이’ 등이 새 풍속이나 전통으로 자리를 잡으려면 시간과 국민적 공감이 더 필요하다.
서구문화의 유입, 산업의 변화로 마을과 가족 중심의 공동체문화를 대체하는 새로운 풍속이 속속 등장하고 있는 가운데, 우리의 전통 세시풍속의 퇴조를 방관하기 보다는 시대에 맞는 의미 있는 세시풍속으로 변모시켜 나가야 한다. 그리고 이를 계속 전승해 세계적인 축제로 진화시키는 작업이 절실히 요구된다.
브라질의 ‘리우카니발’은 유럽의 종교행사인 카니발과 아프리카의 음악이 융합한 축제로, 2012년 6억2천800만 달러의 국부(國富)를 창출했다. 5일간의 축제로 25만 명의 고용, 티켓 판매와 광고 등으로 전체 6억 달러가 넘는 세계적인 축제로 승화시키고 있다.
독일 뮌헨의 ‘옥토버페스트’는 1810년에 시작된 왕세자의 결혼식 축하행사가 음악과 맥주를 즐기는 축제로 변모한 것이다. 지난해 16일간 개최된 축제 중 첫 주에만 350만 명의 관광객이 몰려들어 3천690만 달러의 맥주를 마신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도움말=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정명철 연구사>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