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까지 신속진단법 개발과 국제 공동연구사업 추진

▲ 농림축산검역본부는 지난 19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최대현안인 ASF 종식을 위한 활동상황과 향후 추진계획을 설명했다.

백신 개발 기초·원천기술 한계, 국내외 협력으로 해결
ASF 진단기능, 요건 갖춘 지자체 기관에 일부 이관 예정

지금까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은 경기 9건, 인천 5건 등 14건,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ASF 바이러스 발생은 25건이 확인된 가운데 내년까지 산업계와 함께 신속진단법을 개발하고, 국제 공동연구사업도 추진하겠다고 지난 19일 기자간담회에서 박봉균 농림축산검역본부장이 밝혔다.

1921년 최초 확인된 ASF는 유럽과 아시아 등 60여 국가에서 발생했지만, 바이러스가 워낙 복잡해 백신과 치료제 개발이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그래서 한 국가의 노력만으로 한계가 분명해 국제 공동대응이 필요하단 목소리가 계속돼 왔다. 검역본부는 12월에 국제진단 숙련도 검사에도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검역본부는 ASF 완전 종식을 위해 국내방역과 국경검역으로 나눠 향후 추진계획도 설명했다. 국내방역은 방역상황관제실을 24시간 운영하고, ASF 발생농장의 분뇨 처리의 세척·소독 등을 지자체와 합동 점검하며, 중점관리지역은 합동점검반을 구성해 이행사항을 점검한다. 아울러 축산차량 통합관제시스템 고도화도 추진키로 했다. 그리고 외국에서 들여오는 휴대축산물 검색과 단속 강화를 위해 탐지견 확대 투입, 온·오프라인 수입금지 축산물 조사도 강화한다.

박봉균 본부장은 “ASF 종식을 위해 초동대처가 중요한데 확진 판정을 위한 정밀기관이 경북 김천의 검역본부에서만 가능했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시설·장비·인력요건을 갖춘 지자체 기관에 진단기능을 일부 이관하는 법령 제정과 시행이 12월 초로 예정돼 있다”면서 “ASF 소독제 효력 시험법도 확립해 지난 11일 기준으로 소독제 22품목을 신속히 허가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ASF가 최초 발생한 경기 연천의 경우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에 신고가 접수됐지만, 시료 채취 후 확진 판정을 위해 거리로 300km가 넘는 경북 김천의 검역본부로 이동해야만 해서 지자체별로 진단기관을 설치해야 한다는 의견이 있었다.

이어 박 본부장은 “ASF, 구제역, AI 등 국가재난형 가축질병 발생을 최소화하기 위해 ICT 기술을 활용한 현장 맞춤형 방역지원을 강화하고, 사전예방 중심의 스마트 검역으로 가축전염병과 외래병해충 유입 차단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면서 “수의과학검역원, 식물검역원, 수산물품질검사원이 통합돼 출범한 농림축산검역본부는 국민 건강 증진과 농축산업 보호를 위한 역할을 다해 자연과 사람, 동물의 One-Health 기관으로서 자리잡겠다”고 다짐했다.

그리고 ASF가 인체에 무해함을 재차 강조하며, 어려운 양돈농가를 돕기 위해 돼지고기 소비에도 적극적으로 동참해 달라고 당부했다.

한편, 검역본부는 2020년도 예산안으로 올해 1755억5700만 원에서 10.2% 증가한 1934억5600만 원을 책정했으며, ASF 등 가축질병과 식물검역 기술 개발을 위한 예산에 올해보다 무려 37.2% 늘어난 333억8400만 원을 편성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농촌여성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